유사개발자 샤이와 무지

음료수 얼려먹기[DFS/BFS]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본문

WIL/algorithm

음료수 얼려먹기[DFS/BFS]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Shy & Mujee 2023. 4. 14. 15:24

[문제] 음료수 얼려먹기: 문제 설명

N ×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된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끼리 상, 하,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다음의 4 × 5 얼음 틀 예시에서는 아이스크림이 총 3개가 생성된다

난이도: ●◐○| 풀이시간 30m | 시간제한 1초 | 메모리 128mb

 

<input case>

첫 번째 줄에 얼음 틀의 세로 길이 N과 가로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M <= 1,000)
두 번째 줄부터 N + 1 번째 줄까지 얼음 틀의 형태가 주어진다.
이때 구멍이 뚫려있는 부분은 0, 그렇지 않은 부분은 1이다.

 

 

<Output case>

한 번에 만들 수 있는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출력한다.
input example Output example
4 5
00110
00011
11111
00000
3

<Idea>

Q1. 그니까 0이 있는 뭉텅이를 1개로 보고 이 뭉텅이가 몇개인지 보라 그런 뜻인거지?
A. 그치 그럼 일단 시작지점을 찾기위해 모든 곳을 둘러봐야하고, 각각의 시작지점에서 깊이 우선 탐색이나 너비 우선 탐색을 이용하면 될 것 같은데. 뭐가 효율이 좋으려나?
Q2. 딱히 차이가 없어보이긴 하는데 그냥 깊이우선 탐색으로 구현해보자

 

n,m=map(int,input().split()) #n is column m is row

table=[]
result=0
for i in range(n):
  table.append(list(map(int,input().split())))

def dfs(row,col):
  if row < 0 or row > n-1 or col < 0 or col > m-1: return 0
  if not table[row][col]: #if position == 0
    table[row][col] =1
    dfs(row+1,col)
    dfs(row-1,col)
    dfs(row,col+1)
    dfs(row,col-1)
    return 1
  return 0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result += dfs(i,j)

print(resul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