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TDB
- 23883
- BOJ
- activation_function
- astreisk
- 데이터분석
- 2시야
- O(logN)
- 또 2시야....
- 알고리즘
- jupyter_notebook
- 자동_형변환
- Python
- 정렬
- 백준
- 멋쟁이사자처럼후기
- root_directory
- 다 쓰고보니깐
- 멋쟁이사자처럼부트캠프
- 파이썬
- 또 2시네
- 몰라 뭐가 너무 많아졌어
- 난 분명히 1시에 잘 생각이었는데
- 다 쓰고 보니깐 1시 반이야
- 멋사
- 5기
- 멋쟁이사자처러후기
- comprehesion
- ELU
- 선택정렬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빅오 (1)
유사개발자 샤이와 무지
트리구조와 시간복잡도 O(logN)
얼마전 지하철 안에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근데 시간복잡도가 log가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긴 한가? 어떻게하면 log가 튀어나올까?" 그리고 이곳저곳을 둘러보게 되는데 이런 결론이 나왔다. 이진 트리에서 총 데이터의 개수가 N개라고 하고 그 데이터 중에서 특정 데이터를 1개 찾아내는데 최악을 가정한다면? 그 깊이가 k라 가정할때 데이터는 Leaf Node에 있을 것이고 마지막 데이터의 수는 1 = N X 2^(-k)이므로 식을 풀어보면 1 = N X 2^(-k) log_2(1) = log_2(N X 2^(-k)) #양변에 log_2를 취함 0 = log_2(N) -k #어떤 수의 제곱수가 1이 되는 케이스는 0일때 밖에 없다 = 로그 내의 곱은 로그 밖에서의 합이다 k = log_2(N) 이란 ..
WIL/What is this?
2023. 7. 21. 02:39